오늘은 container의 중첩과 색상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아래의 예제 코드를 입력하시고 돌려보시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출력됩니다.
root
parent container1.child container1
parent container2: {
label: parent2
child container2 -> child container3
}
extra: extra parent {
child1 -> _.parent container2.child container3
child2 -> _.parent container2
}
parent container1.child container1 -> parent container2.child container2
root -> parent container1.child container1
root -> parent container2.child container2
extra.style.fill: "#ddffff"
코드를 설명 드리자면 일단 제일 상단에 위치할 root container를 만들어 줍니다.
그 다음에 parent container1에 속한 child container1를 둘 이 같이 한번에 생성합니다.
parent container2의 경우 label속성을 이용하여 parent2로 보이게 바꿔주고
child container2에서 child container3에 화살표를 이어주면서 두 개를 한번에 생성해줍니다.
그 다음 extra를 생성하는데 label속성 대신 축약형인 “:”를 사용해줍니다.
그리고 child1과 child2를 생성하는데 child1은 “_”를 통해 가장 밖에서 부터 접근하여 parent container2의 child container3에 화살표를 이어주고
child2의 경우에도 “_”를 통해 접근하여 parent container2와 이어줍니다.
그 다음 “parent container1.child container1 -> parent container2.child container2”는 자식에서 다른 자식 container로 화살표를 이어주는 예입니다.
또한 root에서도 다른 child container에 접근 가능하다는 예시이며
마지막으로 extra.style.fill: "#ddffff"속성을 통해 extra container의 색상을 변경하는 예제입니다.
이와 같이 container에 대해 한 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.
이전에 배운 화살표와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사용하면서 느끼지만 정말 유연한 것 같습니다.
'D2La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2Lang] 6. window에서 D2 CLI 설치 및 내보내기(svg, png)를 알아보자! (0) | 2023.05.04 |
---|---|
[D2Lang] 5. D2의 Text & Code를 알아보자! (0) | 2023.05.03 |
[D2Lang] 3. D2에서 화살표 모양을 바꿔보자! (0) | 2023.04.19 |
[D2Lang] 2. D2를 통한 다이어그램 상자의 모양 바꾸기! (0) | 2023.04.16 |
[D2Lang] 1. D2를 통한 다이어그램 그리기 시작하기! (0) | 2023.04.15 |